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

[독서 기록] 행성어 서점 ⭐ 읽자마자 다른 책도 사러 가게 만드는 책 ‘아니 이런 소재를, 이런 아이디어를 이렇게 짧은 초단편 소설에 써도 되나?’유튜브 ‘겨울서점’ 채널의 김겨울 님이 이 책을 리뷰할 때 했던 말이다. 읽으면서 매우 공감했다. 웹소설 작가인 친구에게 일부분 보여주니 ‘이 사람은 어떻게 이런 상상을 하지?’라고 하는데, 이 말도 공감이 된다. 김초엽 작가는 도대체 어떻게 이런 상상을 할 수 있는지, 또 이렇게 유니크한 아이디어를 이런 짧은 소설로 써버릴 수 있는지 내가 다 아까워하며 읽었다.김초엽 작가의 책을 처음 읽을 때는 그냥 너무 재밌고, 문장이 간결해서 읽기 편하다고만 느꼈었다. 근데 여러 권을 읽으며 이 작가와 작가가 그리는 세계관을 알게 되니 점점 더 재밌어진다. 특히, SF 소설이어서 항상 유니크한 .. 2025. 2. 5.
[독서 기록] 데일카네기 자기관리론 ⭐ 걱정이 많아질 때 꺼내서, 2부까지만 읽자. 밀리의 서재에서 호평과 혹평을 모두 받고 있어서 걱정과 기대가 동시에 생기는 책이었다. 읽고 나니 그 모두를 이해할 수 있었다. 내 개인적으로는 인생에 걱정이 생길 때마다 이 책의 조언을 따르면 힘들지 않게 넘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걱정에 대해 막연히 긍정적인 말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가장 좋았다. 걱정이 왜 안 좋은지, 걱정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현실적으로 자세히 설명해 준다. 특히, 1부와 2부의 내용은 아주 공감하고 감탄하면서 읽었다. 또, 모든 주장에 본인의 학생과 지인들의 사례를 함께 소개해서 더 공감할 수 있었다.하지만 뒷부분으로 갈수록 안좋게 느껴지는 부분도 많았다. 일단, 내가 밀리의 서재의 리뷰에서 본 이 책의 단점.. 2025. 2. 1.
2024 KOBIS 박스오피스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 태블로에서는 시트를 모아서 대시보드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대시보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한눈에 들어오도록 정리할 수 있고, 클릭, 마우스오버 등을 통해 동적으로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아주 편리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활용해 동적 대시보드를 제작한 내용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데이터 소스는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 - 'KOBIS 박스오피스 영화정보(한국문화정보원)' 입니다.데이터는 21년 1월부터 24년 11월까지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21년 6월 ~ 23년 10월까지는 데이터에 결측이 너무 많아서 2024년 데이터만 활용했습니다. (데이터가 온전했다면 전년 대비 성장률 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아쉽습니다.) 데이터 전처리먼저, 한 달 단위로 데이터 파일이.. 2025. 1. 21.
Basic EDA with Tableau - 변수간 관계 확인 (수치형-수치형) Tableau를 사용한 지 너무 오래된 것 같아, 복습 겸 강좌를 듣고 있습니다.네이버 커넥트 재단 boostcourse 중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태블로 (강승일)'을 참고하고 있습니다.평소 파이썬으로 EDA에 활용하는 시각화들을 태블로에서 간단히 구현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Basic EDA with Tableau 시리즈의 마지막 내용인 수치형 변수 간 관계 확인을 위한 시각화입니다.사실 수치형 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려고 할 때, 대부분 시각화보다는 상관계수를 많이 확인하시는 것 같습니다.하지만 상관계수는 두 변수의 '선형' 상관성에 대한 값이기 때문에, 2차 함수 관계 등의 아주 단순한 비선형 관계성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수치형 변수간 시각화는 의사결정을 위한 명확한 수치적 .. 2025. 1. 14.
Basic EDA with Tableau - 변수간 관계 확인 (범주형-수치형) Tableau를 사용한 지 너무 오래된 것 같아, 복습 겸 강좌를 듣고 있습니다.네이버 커넥트 재단 boostcourse 중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태블로 (강승일)'을 참고하고 있습니다.평소 파이썬으로 EDA에 활용하는 시각화들을 태블로에서 간단히 구현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범주형 변수와 수치형 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시각화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한 가지 방식이지만 머신러닝의 회귀(Regression) 문제에서 가장 많이 시도하는 EDA인 것 같습니다. 1. 박스 플랏태블로에서 범주형과 수치형을 선택하면 default로 막대그래프가 추천됩니다. 하지만, 막대 그래프의 경우 평균, 빈도수 등 한 가지 통계량밖에 볼 수 없어서 분포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따라서 막대 .. 2025. 1. 14.
Basic EDA with Tableau - 변수간 관계 확인 (범주형-범주형) Tableau를 사용한 지 너무 오래된 것 같아, 복습 겸 강좌를 듣고 있습니다.네이버 커넥트 재단 boostcourse 중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태블로 (강승일)'을 참고하고 있습니다.평소 파이썬으로 EDA에 활용하는 시각화들을 태블로에서 간단히 구현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두 가지 범주형 변수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시각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사실 범주형 변수 간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는 많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하지만, 머신러닝의 분류(Classification) 문제에서 target이 범주형인 경우 (이진분류 등)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 파악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히트맵히트맵은 범주형 변수들의 고유값의 수가 많지 않을 때 한눈에 확인.. 2025. 1. 14.